전국동시지방선거의 꽃은 서울 시장과 경기도지사 등을 선출하는 광역자치단체장 선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역자치단체장은 4년 동안 해당 지자체의 행정을 총괄하는 고위직 공무원이며 차관급(서울 시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습니다. 오늘은 지방선거에서 직접 선출된 역대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를 득표율 중심으로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울특별시/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 역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선거 결과 요약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의 기초자치단체장(00 구청장)은 4년마다 치르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됩니다. 서울 구청장 선거는 광역자치단체장인 서울시장과 대립할 수도, 협력할 수도 있는 구청장을 선출하는 만큼 큰 관심을 받는 선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직접 선출된 역대 민선 서울 구청장 선거 결과를 득표율 중심으로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빨간색은 보수 정당, 파란색은 진보 정당 후보자 당선 지역입니다. 당선자와 득표수 2위 후보의 득표율을 정리했습니다. 역대 서울 구청장 선거 결과 제1회 지방선거 제2회 지방선거 제3회 지방선거 제4회 지방선거 제5회 지방선거 제6회 지방선거 제7회 지방선거 제8회 지방선거 역대 서울 구청장 선거 결과 요약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 ..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서울특별시장, 경기도지사와 같은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시, 도의원 등을 선출하는 선거입니다. 그중 가장 관심을 받는 지방자치단체장은 서울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장은 국무회의에 배석할 수 있으며 지자체장 중에 유일하게 장관급 대우를 받습니다. 임기는 4년이며 3회까지 연임(3회 연속) 가능합니다. 8백만 명이 넘는 선거인수를 보유한 서울특별시는 후보자나 선거 이슈에 따라 민심의 방향이 바뀌는 대표적인 지역입니다. 또한 이곳에서 선택받은 서울시장은 인구 천만명의 행정을 책임져야 합니다. 서울시장 직선제의 시작은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입니다. 국민에 의해 선출된 민선 지자체장의 등장으로 지방자치제가 완성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역대 민선 서울시장의 선거 결과 및 ..
교육감 선거는 국회의원이나 광역단체장 선거에 비해 관심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교육감은 교육 사무 집행에 대한 재량권을 갖고 공교육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교육감 선거와 후보자의 정책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그동안 임명제와 간접선거제도, 선거인단 제도, 지역별 선거로 치르던 교육감 선거는 2010년부터 제5회 지방선거와 함께 치르게 됩니다. 민선 1기 교육감은 제5회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후보를 말합니다. 또한 교육감 후보는 당적이 없는 무소속 상태로 선거에 출마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동안의 활동 등으로 후보자의 성향을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오늘은 역대 교육감 선거 결과를 득표율 중심으로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역대 교육감 선거 결과 제5회..
민선 부산시장은 유권자인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선출직 부산시장을 의미합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처음으로 도입됐으며 그 전 부산광역시장은 임명직 단체장입니다. 최근 일어난 현 부산시장과 관련된 사건으로 인해 2021년 4월 7일에 부산광역시장 재보궐선거를 치르게 됐는데요. 2021년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역대 부산광역시장 선거 결과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특히 부산광역시의 16개 구의 유권자들이 총 7번의 지방선거에서 어떤 후보에게 투표했을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역대 민선 부산광역시장 선거 결과를 구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결과 비교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 승패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승 = 최다 득표자 당선 패 = 최다 득표자 낙선 1.중구 2.서구 3.동구 4.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