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의 기초자치단체장(00 구청장)은 4년마다 치르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됩니다. 서울 구청장 선거는 광역자치단체장인 서울시장과 대립할 수도, 협력할 수도 있는 구청장을 선출하는 만큼 큰 관심을 받는 선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직접 선출된 역대 민선 서울 구청장 선거 결과를 득표율 중심으로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빨간색은 보수 정당, 파란색은 진보 정당 후보자 당선 지역입니다. 당선자와 득표수 2위 후보의 득표율을 정리했습니다. 역대 서울 구청장 선거 결과 제1회 지방선거 제2회 지방선거 제3회 지방선거 제4회 지방선거 제5회 지방선거 제6회 지방선거 제7회 지방선거 제8회 지방선거 역대 서울 구청장 선거 결과 요약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 ..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서울특별시장, 경기도지사와 같은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시, 도의원 등을 선출하는 선거입니다. 그중 가장 관심을 받는 지방자치단체장은 서울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장은 국무회의에 배석할 수 있으며 지자체장 중에 유일하게 장관급 대우를 받습니다. 임기는 4년이며 3회까지 연임(3회 연속) 가능합니다. 8백만 명이 넘는 선거인수를 보유한 서울특별시는 후보자나 선거 이슈에 따라 민심의 방향이 바뀌는 대표적인 지역입니다. 또한 이곳에서 선택받은 서울시장은 인구 천만명의 행정을 책임져야 합니다. 서울시장 직선제의 시작은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입니다. 국민에 의해 선출된 민선 지자체장의 등장으로 지방자치제가 완성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역대 민선 서울시장의 선거 결과 및 ..